git이 설치되어 있다면, 3rd party 앱 없이 CLI를 통해 저장소 관리가 가능하다. 매번 egit플러그인이나, source tree를 사용한 것 보다 어떤 면에서 더 직관적이다.
local 저장소 생성하기 및 commit하기
해당폴더에서 컨텍스트메뉴의 Git Bash Here
를 사용.
$ git init
.git폴더가 생성되고 버젼관리를 할 준비가 되었다.
저장소내 파일들에 대해 추적을 하기 위해 최초파일을 추가add한다.
이후 변경된 파일 또한 git add
명령을 통해 unstaged에서 staged로 상태를 변경후 commit해야 한다.
$ git add *.c
$ git add <file1> <file2> ....
$ git commit -m 'initial project version'
Local에 git 저장소 만들기@insanehong
Git의 기초 – Git 저장소 만들기
remote 저장소 추가하기
git remote
명령어에 -v
의 옵션을 추가하면 원격저장소 url까지 확인 할 수 있다.
$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nob0dj/autohotkey.git
$ git remote
origin
$ git remote -v
origin https://github.com/nob0dj/autohotkey.git (fetch)
origin https://github.com/nob0dj/autohotkey.git (push)
gitignore파일 생성하기
버젼관리 하지 않을 파일, 폴더등을 한줄에 하나씩 추가한다.
* /folder명/
* 파일명 혹은 와일드카드 사용가능 *.txt
// .gitignore 파일을 생성한다.
$ touch .gitignore
// .gitignore은 숨김 파일이므로 아래의 2가지 방법으로 제대로 생성됐는지를 확인한다.
$ la
$ ls -a
// .gitignore 파일을 수정한다.
$ vi .gitignore
.gitignore
파일 생성 전후에 git status
확인해보면, untracted file목록에서 제외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원격 저장소 push하기
원격저장소에 commit한 내역 push
$ git push origin master
상태확인
$ git remote show origin
* remote origin
Fetch URL: https://github.com/nob0dj/autohotkey.git
Push URL: https://github.com/nob0dj/autohotkey.git
HEAD branch: master
Remote branch:
master tracked
Local ref configured for 'git push':
master pushes to master (up to date)
No Comments on CLI로 local 저장소 만들기